◈ 자주 보게 되는 HTTP 상태 코드 정리 ◈
200번대 → 성공 😊
200 OK : 요청이 성공적으로 되었습니다.
201 Created :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 그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습니다.
400번대 → 클라이언트 에러 🤔
400 Bad Request : 잘못된 문법으로 인하여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요청 좀 제대로 해라.)
401 Unauthorized :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입니다. (너 누구니?)
403 forbidden : 권한이 없는 사용자입니다. (네가 누군진 아는데, 넌 여기 접근할 수 없어.)
404 Not Found :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 서버는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
(경로에 맞지 않는 주소야.)
500번대 → 서버 에러 😢
500 Internal Server Error : 서버가 처리 방법을 모르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서버 터졌다!)
더 자세한 정보는 ↓↓↓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HTTP/Status
HTTP 상태 코드 - HTTP | MDN
HTTP 응답 상태 코드는 특정 HTTP 요청이 성공적으로 완료되었는지 알려줍니다. 응답은 5개의 그룹으로 나누어집니다: 정보를 제공하는 응답, 성공적인 응답, 리다이렉트, 클라이언트 에러, 그리고
developer.mozilla.org
( + ) MDN 문서를 보다 보면, 418 I'm a teapot
이런 요상한 상태 코드를 볼 수 있는데, 간단히 찾아보니 국제 인터넷 표준화 기구(IETF)의 만우절 농담이 상호운용성 등의 이유로 지워지지 못하고 남아있는 것이라고 한다. 표준 문서에 이래도 되나..? 싶으면서도 유쾌한 이야기인 것 같다ㅎㅎ
'기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들고 싶은 것 (0) | 2023.04.09 |
---|---|
깃, 깃허브 뿌시기 (0) | 2023.03.31 |
[도서]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0) | 2022.12.31 |
코드스테이츠 엔트리 코스 4일차/5일차 (0) | 2022.11.09 |
코드스테이츠 엔트리 코스 3일차 (0) | 2022.11.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