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타11

멘토링 팁 메모장 📝 보호되어 있는 글 입니다. 2023. 6. 29.
간단한 팁 메모장 📝 ◆ 폴더나 파일의 이름을 지을 때는 공백 없이 영문 소문자로 짓자. 많은 컴퓨터들, 특히 웹 서버는 영문 대소문자를 구분한다. 또한 여러 브라우저들과 웹 서버, 그리고 프로그래밍 언어들은 공백을 일관되게 처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폴더나 파일의 이름을 지을 때는 공백 없이 영문 소문자를 이용하는 것이 좋다. 공백을 없애는 방법으로는 _(밑줄)과 -(하이픈)이 있는데, 이 중에서 -(하이픈)을 사용하는 것이 더 권장된다. 왜냐하면 구글 검색 엔진의 경우 -(하이픈)은 단어 구분자로 취급하지만, _(밑줄)은 그렇지 않기 때문이다. [출처]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Learn/Getting_started_with_the_web/Dealing_with_files ◆ 상.. 2023. 4. 29.
만들고 싶은 것 플랫폼 사용 X 처음부터 만드는 내 블로그 꽃가루 알림이 여행 mbti 단수 계산기 복식부기 가계부 보안이 철저한 아이디어 노트 초대장 서비스 교환일기 서비스 증강현실을 접목한 SNS 서비스 ChatGPT를 이용한 친절한 키오스크 화면 부수기 칼림바 리듬게임 스토리형 방탈출 게임 2023. 4. 9.
깃, 깃허브 뿌시기 0. 깃 설치하기 1. 로컬 저장소 만들기 버전 관리가 필요한 폴더에서 마우스 오른쪽 버튼 클릭 → Git Bash Here 클릭 → Git Bash 창이 열리면, $ 기호옆에 git init (초기화) 입력. 그러면 폴더에 [.git] 이라는 숨김 폴더가 생성되는데, 이것을 로컬저장소라고 부르는 것임. 2. 첫 번째 커밋 만들기 각 버전을 누가 만들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내 정보 등록 Git Bash 창에 아래 두 명령어 입력 git config --global user.email "your_email" git config --global user.name "your_name" git add 커밋할 파일 //스테이지에 추가 git commit -m "커밋 내용" git add . 하면 전체 파일임 -m은.. 2023. 3. 31.
HTTP 상태 코드 ◈ 자주 보게 되는 HTTP 상태 코드 정리 ◈ 200번대 → 성공 😊 200 OK : 요청이 성공적으로 되었습니다. 201 Created : 요청이 성공적이었으며, 그 결과로 새로운 리소스가 생성되었습니다. 400번대 → 클라이언트 에러 🤔 400 Bad Request : 잘못된 문법으로 인하여 서버가 요청을 이해할 수 없습니다. (요청 좀 제대로 해라.) 401 Unauthorized : 인증되지 않은 사용자입니다. (너 누구니?) 403 forbidden : 권한이 없는 사용자입니다. (네가 누군진 아는데, 넌 여기 접근할 수 없어.) 404 Not Found : '페이지를 찾을 수 없습니다.' - 서버는 요청받은 리소스를 찾을 수 없습니다. (경로에 맞지 않는 주소야.) 500번대 → 서버 에러 .. 2023. 1. 31.
[도서] 비전공자를 위한 이해할 수 있는 IT 지식 부트 캠프 시작 전 추천 도서 목록에 있었던 책이다. 산책을 하며 들른 집 앞 도서관에 있길래 가볍게 빌려서 읽어봤다. 개발자와 일할 일이 많은 기획자 등이 이 책의 주된 대상인 것 같았다. 나처럼 일반적인 수준의 IT 지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이 부담 없이 술술 읽으며 기초 개념을 잡기에 괜찮은 책이라고 생각한다. 뭐랄까 개발자가 아닌 똑똑한 사람이 자신의 필요로 스스로 찾아 배운 내용을 자신과 같은 사람들을 위해 쉽게 설명해 주는 느낌? 실무에서 주고받을 만한 대화 내용이 중간중간 나오는데, 처음에는 이게 뭔 소리야 싶던 게 후반부로 갈수록 점점 이해가 되는 신기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다른 분야에 비해 변화의 속도가 빠르고 비교적 발전 역사가 짧은 IT 산업. 처음부터 완벽에 가까운 기획을 한 후 .. 2022. 12. 31.
코드스테이츠 엔트리 코스 4일차/5일차 (참고) 이번 목표는 지금까지 배운 내용들을 활용하여 키오스크 만들기. 메뉴 선택이 안되는 걸 나중에 알았는데, menu 스펠링이 틀려있었다. 항상 조심하기! 다음으로 옵션을 추가하기 위해 input 태그를 사용하게 되는데, input 태그란 웹페이지 상에 어떤 값을 입력하고 싶을 때 사용하는 태그이다. + 더 다양한 input tag 타입 ↓↓↓ https://www.w3schools.com/tags/tag_input.asp HTML input tag W3Schools offers free online tutorials, references and exercises in all the major languages of the web. Covering popular subjects like HTML, C.. 2022. 11. 9.
코드스테이츠 엔트리 코스 3일차 3-1. '배열'이란 다수의 값을 한번에 다룰 수 있는 자료형 중의 하나로, [ ] 안에 여러 개의 값이 들어가 있는 형태이다. 배열에 요소를 추가하려면 push를 사용하면 된다. 반복문을 이용한 훨씬 깔끔한 답은 이렇다. ☞ 배열의 길이 : length 이용 도저히 감이 안 와서 살짝 힌트를 얻어 풀어봤다. 사이트에서 제공한 정답은 아래에. 3-2. 객체를 선언하는 방법도 변수를 선언하고 할당하는 방법과 같다. 차이점은 배열은 [ ] 사용, 객체는 { } 사용. 여기서 키는 나타내고자 하는 정보를, 값은 말 그대로 정보에 대한 값을 나타낸다. (예시) 2022. 11. 9.